안녕하세요, 오늘은 지하철 정기권 만드는 방법과 충전하는 방법, 그리고 유의사항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! 서울, 경기에 살면 무조건 지하철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교통비가 만만치 않죠ㅜㅜ 오늘은 대중교통비를 줄일 수 있는 짠테크 방법으로 지하철 정기권 만들기를 소개해드릴게요!!
1. 정기권 사용 계기
- 저는 집이 경기권이고 회사인 서울까지 편도 지하철비가 1,450원으로 매일 2900원씩 교통비가 발생합니다.
한 달에 20번 출근을 하게 되면 58,000원이 들고,
주말에 지하철 타고 약속을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
55,000원 거리비례용을 사용하면 무조건 3,000원 이상씩은 이득이라는 생각으로 사용하게 됐습니다.
2. 정기권 종류 및 기간에 따른 횟수
2-1 서울 전용과 거리비례용
- 서울 전용 : 55,000원 균일 충전
* 서울 전용으로 발급 시 서울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, 경기권에서는 불가
- 거리비례용 : 총 14단계로 55,000~102,900원 까지(수도권 전철 전 구간에서 종별 운임 수준에 따라 사용)
예) 1단계 : 평소 편도 교통카드 기준 운임이 1,450원 이내이면 정기권 운임은 55,000을 충전하여 30일 동안 사용
* 지정된 사용 구간 초과 시 잔여 횟수 추가 차감
** 일부 구간은 제외되므로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참고!
참고사이트:서울교통공사(주소: http://www.seoulmetro.co.kr/kr/page.do?menuIdx=355)
승차권안내 : 이용정보>운임제도>승차권안내
교통카드 RF교통카드는 무선주파수(Radio Frequency)방식의 비접촉식 요금징수 카드이며 지불방식에 따라 선불카드와 후불카드로 구분함 선불카드는 일정 금액을 먼저 지불하고 충전하여 사용하다
www.seoulmetro.co.kr
2-2 기간에 따른 횟수
- 충전일로부터 30일 이내 60회까지 사용 가능
* 참고 : 30일이 경과하거나, 60회 모두 사용 시 기한이나 횟수 남았어도 사용 불가
3. 지하철 정기권 만드는 방법
3-1 정기권 구매하기
- 지하철을 타러 가시면 아래 사진과 같은 고객 안내부스가 있습니다.
직원분께 지하철 정기권 카드 구매 문의하시면 구매 가능합니다.
금액은 2500원입니다.(2021.10월 기준)
3-2 지하철 정기권 충전
지하철 1회권이나 교통카드 충전하는 기계가 있습니다.
거기에서 교통카드 충전(정기권 충전)을 누르고, 원하는 금액을 입력 후 현금을 입력하면 됩니다.
무조건 현금으로만 충전 가능하기 때문에 현금영수증 등록도 놓치지 말고 하시면 좋습니다.
그 방법은 3-3에서 확인해주세요!
3-3 현금영수증 등록하기(PC버전)
홈택스 접속 → 조회/발급 → 현금영수증 발급 수단 → 소비자 발급 수단 → 카드번호 입력 → 직접 입력 부분에 정기권 카드 번호 입력 후 등록하기 클릭
4. 유의사항
- 지하철 정기권은 말 그대로 지하철 정기권이기 때문에 버스 단독 사용이나 버스로의 환승 시 이용이 불가합니다.
지하철과 버스를 함께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번 더 고려해보시고 구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해당 티스토리의 내용과 이미지는 gygy072906에 귀속됨을 알려드리며,
무단복제 및 사용을 금지합니다.
'일상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르샤쥬얼리에서 예물반지 했어요~! (0) | 2022.08.21 |
---|---|
엄마가 만족하신 소소한 선물들~~(자세교정 방석, 온수매트) (0) | 2021.10.29 |
내돈내산!! 남자친구한테 준 선물 베스트 3 소개!! (0) | 2021.10.27 |
신세계 종이 상품권 SSG MONEY(쓱 머니)로 전환해서 생활에 보탬받기!! (0) | 2021.10.07 |